반핵아시아포럼의 30년

8 months ago 32

풀뿌리 사람들이 손을 맞잡는 네트워크로서 반핵아시아포럼이 결성된 지 올해로 30주년입니다.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서로를 존중하고 격려해 온 역사를 되돌아봅니다. (NNAFJ 사무국)

1993 NNAF 1st 일본

일본은 아시아 각국에 핵발전소를 수출하려고 했다. 그 당시 ‘아시아지역 자력협력 국제회의’를 일본이 중심이 돼서 진행하고 있었다. 아시아 각국에 핵발전이 추진될 수 있도록 일본 원자력산업회의가 그 일을 주도했다.

한국의 활동가로부터 ‘핵발전 반대 국제연대를 하자’ 는 제안을 받았다.
‘핵발전 추진파가 국제교류를 활발하게 하니 반대파도 국제연대를 해야 한다’ 

제1차 반핵 아시아 포럼은 일본에서 개최했다. 8개국에서 30명이 참여해, 7개의 코스로 나눠, 핵발전소 현지(소재지)및 가까운 도시 등 총 28개소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후 포럼은, 거의 매년, 매회 다른 나라에서 개최되고 있다.
 
핵발전소 소재지와 예정지의 많은 사람들이 NNAF에 참여해 왔다.

정보를 교환하고, 경험을 공유하고 , 공동행동을 펼쳐 왔다. 이런 활동을 통해 서로 배우고 서로 격려해 왔다.

1994 NNAF 2nd 한국

영광, 고리, 울진에서 어민·농민들과 함께 반핵집회를 열었다.

핵폐기물처분장 건설을 성공리에 저지한 고성과 영일에서도 집회를 열었다.

한국을 버스로 한 바퀴 도는 일정은 힘들기도 했지만, 핵발전소와 핵폐기장 건설에 반대하기 위해 열심히 활동해온 주민들과 만나면서, 피곤을 느낄 여유는 없었다.

1995 NNAF 3rd 대만

대만. 핵발전소 3곳에 2기씩 총 6기.

1987년, 세계 최장 38년간의 계엄령 해제, 민주화 투쟁 고양, 큰 축이 ‘제4핵발전소 건설 반대’. 민진당의 강령에도.

제3차 NNAF에서는 제4핵발전소 건설에 반대해 3만명이 행진.

참가자는 란유섬(드럼통 10만 개의 핵폐기물이 반입된 원주민족의 섬), 제1,제2 핵발전소, 방사능 오염 아파트, 방사능 오염도로, 타오위안 방사능 오염지역을 방문했다.

우리는 제4핵발전소 부지 내에서 진행한 집회와 궁랴오 주민들과의 교류집회로 포럼의 막을 내렸다.

궁랴오에서는 주민투표로 96%가 핵발전소 건설에 반대했다.

1996 NNAF 4th 인도네시아

1990년대에 수하르토 군사 독재 정권은 자바섬 중부의 물리아에서 핵발전소 건설을 계획했다.

어려운 상황에서 반핵운동을 펼치고 있었지만, 반핵운동은 바로 민주화운동이었다.

1996년 NNAF는 자카르타, 솔로, 요그야카르타에서 진행했다.

포럼에서는 지금까지 반핵운동의 중심지인 자와섬은 물론 스마트라, 롬복, 카리만탄, 술라웨시 등 섬 주민들도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여 반핵 전국 네트워크가 구성되었다.

핵발전소 반대 여론이 높아지면서 97년 핵발전소 건설은 ‘연기’ 되었다.

98년 민중들의 투쟁으로, 30년 이상 지속된 수하르토 군사 독재 정권은 막을 내렸고, 무리아 핵발전소 건설계획은 좌절했다.

1997 NNAF 5th 필리핀

바탄 핵발전소반대 ‘지역 총파업’ 1985년 6월, 5만명이 거리로. 민중이 전차에 맞서다.

→ 86년 2월 피플스 파워 혁명으로 이어진다. 마르코스 군사 독재 정권이 쓰러졌다.

→ 아키노 정권이 출범한 직후에 완성된 바탕 핵발전소를 동결했다.

그러나 필리핀 정부는 1992년 이후 바탄 핵발전소 재개를 계획하고, 게다가 루손섬, 민도로섬, 네그로스섬, 민다나오섬 등 10곳에 핵발전소 건설을 계획을 공표했다.

1997년 NNAF는 마닐라에서 회의를 열고, 원자력연구소 견학 후 바탄 핵발전소 현지로 향했다.

약 2000명이 횃불을 밝히고 행진 를 열었다. 바탄 민중들의 열정은, 포럼 참가자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1998 NNAF 6th 태국

방콕에서 열린 2일간의 심포지엄에서는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다.

다음 날 버스로 600km를 이동해, 태국 남부 춤폰으로 도착, 핵발전소 예정지에서 약 200명의 주민들과 집회를 열었다. 춤폰에서는 최초의 반핵 주민집회였다.

또 하나의 핵발전소 예정지 수라타니에도 갔다. 집회에서 지역의 NGO 및 주민들과 함께 열띤 토론을 벌였다.

그리고 방콕에서 북동으로 60km 거리의 온카락으로 이동했는데, 1만kw 연구로 건설 예정지다.

2000년, 온카락 연구로 건설 반대 주민투쟁. 700명의 온카락 주민이 수십대의 버스로 정부에 몰려가 건설 계획을 중단시켰다.

1999 NNAF 7th 인도

인도는 우라늄 광산부터 재처리공장과 핵실험장까지 온갖 핵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포럼에는 방사능으로 인한 건강 피해가 많은 자두고다 우라늄 광산의 주민들도 참여했다. 파키스탄과의 문제, 중동 핵문제 등도 포럼 주제에 등장하기도 했다.

현장답사에서는 가이가 핵발전소 현장을 탐방했다. 냉각수를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댐으로 마을 절반이 물에 잠겼다. 마을에서 계속 생활하는 주민들, 강제퇴거를 당한 주민들과 만나 의견을 교환했다.

2000 NNAF 8th 일본

도카이무라, 후쿠시마에서 포럼을 연 후, 가시와자키시를 방문했다.

가시와자키가리와핵발전소 6호·7호 와 같은 종류의 ABWR 핵발전소가 수출되는 계획이 있는 대만에서 절실한 호소가 있었다.

2001 NNAF 9th 한국

서울에서 회의 개최 후 영광 핵발전소 현장을 답사했다.당시 영광은 가장 유력한 핵폐기물처분장 건설 후보지 라고도 했다.

‘문화 마당’ 이 열려 화목한 분위기 속에서 노래와 판소리, 사물놀이 등을 즐겼다. 참가자 모두 주민들과 함께 둥글게 춤을 추었다.

가까운 곳에서 활성단층이 발견되었음에도 증설을 계획하고 있는 월성핵발전소 앞에서는 800명이 참여하는 집회가 열렸다.

울산에서도 힘찬 집회・행진가 열려 500명이 참여했다.

2002 NNAF 10th 대만

포럼에서는 이미 착공된 제4핵발전소에 대한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한편, 드럼통 10만 개의 핵폐기물이 반입된 란유섬도 방문했다.

대만 수상과 면담도 가졌다.

2003 핵폐기물 국제포럼, 한국 부안

부안에서는 2003년 핵폐기물처분장 건설에 반대해, 1000~2000명의 주민들이 매일 밤 도로에 모여 촛불집회를 200일 동안 진행했다.
핵폐기물 국제포럼도 개최했다.

2004년 2월 부안 군민은 핵폐기물처분장 건설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를 성사시켜 승리했다.

2005 NNAF 11th 대만

2005년 대만에서 열린 포럼에서는 일본이 원자로를 수출해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제4핵발전소 반대운동을 벌였다.

2007 인도네시아, 무리아(NNAF 는 아니지만)

2007년, 부활한 무리아 핵발전소 건설 계획에 반대해, 8월31일 밤, 무리아 핵발전소 예정지인 바론 마을의 6000명의 주민들이 35km를 걷는 긴 행진을 벌였다.

다음 날, 이슬람 단체 NU 자와주 중부지부 성직자 100명이 무리아 핵발전소를 ‘하람’ 즉 이슬람에서 금지된 것이라고 결론냈다.

2008 NNAF 12th 일본

2007년에 일어난 지진으로 가시와자키가리와 핵발전소에서 이상이 발생.7기의 가동을 장기간 정지했다.

2008년에 가시와자키시에서 열린 NNAF 에서는 ‘지진과 핵발전소의 위험성’에 대한 공통인식을 공유하고 집회를 통해 호소했다.

2009 필리핀 바탄(NNAF는 아니지만)

2009년 국회에서 바탄 핵발전소 건설 계획 부활을 위한 법안이 제출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바탄 핵발전소 부활 반대 네트워크(NO to BNPP)를 결성해 필리핀 각지에서 항의 집회를 열었다. 바탄 핵발전소 부활의 움직임은 다시 한번 사람들의 투쟁으로 좌절되었다.

2010 NNAF 13th 대만

포럼에서는 제4핵발전소 부근 활성단층의 존재를 처음으로 지적했고, ‘지진과 핵발전소의 위험성’을 호소했다.

2011 NNAF 14th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직후에 열렸다. 
후쿠시마서 2000명 행진. 도쿄전력 본사,신규핵발전소 건설 예정지의카미노세키, 이와이시마, 히로시마.

OLYMPUS DIGITAL CAMERA

2012 NNAF 15th 한국

핵발전소 신규건설 예정지인 삼척과 영덕에서 집회를 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Oq1J9eXk54 (3분영화)

두 곳의 핵발전소 건설 계획은 그 후 주민투표로 반대파가 각각승리했다.

2012 인도 쿠단쿨람

2012년 9월 9일, 약 3만 명의 주민들이 건설중인 쿠단쿨람 핵발전소를 포위하고 항의의 목소리를 올렸다.

그러나 바닷가에서 하루 밤을 지낸 다음날 10일, 완전 무장한 경찰대가 주민을 탄압해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다.

2014 NNAF 16th 대만

2014년 4월 27일, 약 5만 명의 시위대가 타이페이역 앞 8차선 도로를 15시간 점거했다.

대만 정부는 2기 모두 거의 완공 단계였던 제4핵발전소 건설 공사 동결을 발표했다.

그 해 9월 반핵아시아포럼은 대만에서 개최했다.

2015 터키 시놉

2015년 4월25일, 터키 시놉에서
약 4 명의 주민이 집회를 열어 ‘일본은 핵발전소를 수출하지 마라!’ 고 외쳤다.

2016 NNAF 17th 일본

2016 년 3월의 포럼은 후쿠시마에서 열려 피해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도쿄에서는 3만명이 모이는 ‘잘 가라 핵발전소’ 집회에 참여했다.

2016 베트남은 핵발전소 건설 계획을 중지.

2018 NNAF 18th 필리핀

바탕에서 주민들과 집회.

’NNAF 는 도시 활동가 교류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지주민들을 소중히 여기는 네트워크입니다.포럼을 개최함으로써 현지주민들이 힘을 얻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태국에서도 필리핀에서도 핵발전을 저지하고 있는데 그곳에서 NNAF가 해온 역할은 매우 큽니다.‘ Corazon Fabros(필리핀)

2019 NNAF 19th 대만

그동안 NNAF는 어느 나라에서나 반정부 행사였지만 이번에는 친정부 행사가 됐다. 정부 경제부와 환경보호서가 협력단체가 됐다.

천젠인 부통령이 해외 참가자 30여명에게 ‘오랜 탈핵운동에 감사를 표한다. 대만 정부는 탈핵 정책을 견지한다’고 인사했다.

21년 12월 18일에 「제4 핵발전소의 가동을 묻는 공민 투표(국민 투표)」가 실시되어 426만명이 가동반대표를 던졌다. (찬성은 380만).

2020~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 반대

2021년 1월 20일 한일 참가자 150명이 줌에서 한일 공동성명,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 반대 국제서명을 제안했다.
(21년 2월 9일에도 한일공동토론회
줌, 200명이상)

오염수 해양방출 반대’핵발전 이제 그만’국제서명
311단체(24개국)가 호소한 국제서명.
(110개국) 83700명이 서명했다.
キャンペーン ·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10주년, 오염수 해양방출 반대! 핵발전소 이제 그만! 국제서명 · Change.org

15개국에서 집회, 스탠딩, 일본대사관 항의 등을 반복했다.

’방사능의 가해자가 되고 싶지 않다’

1992년에서 2018년까지、인도네시아, 대만, 베트남, 인도, 터키에의 핵발전소 수출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했다. 서명 운동, 미쓰비시·히타치·도시바의 제품불매운동, 국회에서 질문, 정부와 교섭, 대상국에서 활동가를 불러서 집회, 대상국에 방문해서 집회 등의 방식이었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 터키에 대한 수출계획은 좌절됐다.
대만 제4핵발전소에는 원자로를 수출해 버렸지만,
대만 민중이 가동을 막아주었다.

2023 NNAF 20th 한국

23년 9월 19일부터 제20회 포럼이
한국에서 개최됩니다.

독일과 대만은 체르노빌과 후쿠시마를 교훈 삼아,
운동을 계속 확대하고 탈핵을 실현.
우리도 뒤를 따르자!
조금이라도 빨리 핵의 시대를 끝내자!

Read Entire Article